이경여 (158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경여(1585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609년 증광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섰다. 광해군의 폭정을 보고 낙향했다가 인조반정 이후 수찬으로 다시 등용되었으며, 이괄의 난 때 공주로 왕을 호종하고 유효립의 난 진압에 기여하여 공신으로 책록되었다. 이후 전라도 관찰사, 경상도 관찰사, 이조참판, 형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거쳐 우의정, 좌의정을 역임하고 영의정에 이르렀다. 그는 배청친명파로 청나라에 두 차례 억류되기도 했다. 묘소는 경기도 포천시에 있으며, 포천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1601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609년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611년 검열이 되었지만 광해군의 폭정을 보고 낙향하였다. 1623년 수찬으로 다시 조정에 나아가 1624년 이괄의 난 때 왕을 공주로 호종하고, 이원익의 종사관이 되었다. 1628년(인조 6) 유효립의 난 진압을 도운 공로로 영사원종공신 1등(寧社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이후 부제학, 청주목사, 좌승지, 전라도관찰사를 거쳐 병자호란 이후 1637년 경상도관찰사, 이조참판, 대사성 등을 겸임하고 다시 형조판서가 되었다. 그 뒤 병조판서, 대사헌, 도승지를 거쳐 우의정이 되고 영중추부사,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이 되었다. 그는 배청친명파로써 두 번이나 청나라에 억류된 적이 있다.
1601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609년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611년 검열이 되었으나, 광해군의 폭정을 보고 낙향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음현리에 있으며, 1986년 4월 9일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8호 《이경여 선생 묘 및 신도비》로 지정되었다.
2. 생애
2. 1. 초기 생애 및 광해군 시대
1601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609년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611년 검열이 되었지만, 광해군의 폭정을 보고 낙향하였다. 1623년 수찬으로 다시 조정에 나아가 1624년 이괄의 난 때 왕을 공주로 호종하고, 이원익의 종사관이 되었다. 1628년 (인조 6) 유효립의 난 진압을 도운 공로로 영사원종공신 1등(寧社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2. 2. 인조반정 이후
1623년 수찬으로 다시 조정에 나아가 1624년 이괄의 난 때 왕을 공주에 호종하고 이어 이원익의 종사관이 되었다. 1628년(인조 6) 유효립의 난 진압을 도운 공로로 영사원종공신 1등(寧社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이어 부제학, 청주목사, 좌승지, 전라도관찰사를 거쳐 병자호란 이후 1637년 경상도관찰사, 이조참판, 대사성 등을 겸임하고 다시 형조판서가 되었다. 그 뒤 병조판서, 대사헌, 도승지를 거쳐 우의정이 되고 영중추부사,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이 되었다. 그는 배청친명파로써 두 번이나 청나라에 억류된 적이 있다.
2. 3. 병자호란과 활동
1628년(인조 6년) 유효립의 난 진압을 도운 공로로 영사원종공신 1등(寧社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병자호란 이후 1637년 경상도관찰사를 거쳐 부제학, 청주목사, 좌승지, 전라도관찰사, 이조참판, 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형조판서, 병조판서, 대사헌, 도승지, 우의정, 영중추부사,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배청친명파로써 두번이나 청나라에 억류된 적이 있다.
2. 4. 사망
이경여는 병자호란 이후 1637년에 경상도관찰사, 이조참판, 대사성 등을 역임하고 다시 형조판서가 되었다. 이후 병조판서, 대사헌, 도승지를 거쳐 우의정이 되고 영중추부사,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다. 그는 배청친명파로서 청나라에 두 번이나 억류된 적이 있다.
3. 정치 활동 및 평가
1623년 수찬으로 다시 조정에 들어가, 1624년 이괄의 난 때 왕을 공주로 호종(扈從)하고 이원익의 종사관이 되었다. 1628년 (인조 6) 유효립의 난 진압을 도운 공로로 영사원종공신 1등(寧社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부제학, 청주목사, 좌승지, 전라도관찰사를 거쳐 병자호란 이후 1637년 경상도관찰사, 이조참판, 대사성 등을 역임하고 형조판서가 되었다. 이후 병조판서, 대사헌, 도승지, 우의정, 영중추부사,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다. 그는 배청친명(排淸親明)파로서 청나라에 두 번이나 억류된 적이 있다.
4. 가족 관계
관계 이름 비고 조부 이극강(李克綱) 1534 ~ ? 조모 온양 정씨 정숙(鄭琡)의 딸 부친 이수록(李綏祿) 1564 ~ 1620 모친 진천 송씨 선부관(宣傳官) 증 참의(贈 參議) 송제신(宋濟臣)의 딸 남동생 이정여(李正輿) 1591 ~ ? 여동생 청주 한씨 한무(韓楙)의 처 1603 ~ ? 정부인 해평 윤씨 영의정 윤승훈(尹承勳)의 장녀, 자녀 없음 계부인 풍천 임씨 별좌(別坐) 임경신(任景莘)의 딸 장남 이민장(李敏章) 1620 ~ 1694, 함평 이씨 이초로(李楚老)의 딸과 혼인 차남 이민적(李敏迪) 1625 ~ 1673, 남동생 이정여(李正輿)의 양자로 출계 장녀 전주 이씨 1631 ~ ?, 연안 이씨 현감(縣監) 이준(李懏)과 혼인 3남 이민서(李敏敍) 1633 ~ 1688, 사촌 남동생 이후여(李厚輿)의 양자로 출계 4남 이민채(李敏采) 1635 ~ ?, 고령 박씨 박장원(朴長遠)의 딸과 혼인 차녀 전주 이씨 1639 ~ ?, 반남 박씨 박세격(朴世格)과 혼인 양첩 은개(銀介) 서장남 이민철(李敏哲) 1631 ~ 1715, 여산 송씨 송영윤(宋永胤)의 딸과 혼인 양첩 승란(勝蘭) 서장녀 전주 이씨 1634 ~ ?, 만호(萬戶) 이후필(李後泌)과 혼인 양첩 난심(蘭心) 서차남 이민계(李敏啓) 1637 ~ ?, 안동 김씨 김엽(金曄)의 딸과 혼인
5. 묘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